문헌록 전자족보(대동보) > 문헌록
           
1. 문헌 목록 〉21. 21世 〉4. <요재공>승정원주서공휘병일기적비명(承政院注書公諱炳一紀蹟碑銘)
1. 문헌 목록 〉21. 21世 〉6. <부정공>제재종제휘병우문(祭再從弟諱炳佑文)
1. 문헌 목록 > 21. 21世 >  
5.<부정공>귀촌공휘국선(병관)묘갈명(龜村公諱國善(炳寬)墓碣銘)
龜村公諱國善(炳寬)墓碣銘 公諱炳寬字士淑龜屯邨號也玉川之趙始自高麗檢校大將軍諱璋歷冠冕爲東方巨族三傳諱元吉號農隱與圃牧陶冶齊名時稱五隱官典工判書玉川府院君諡忠獻享武夷院生諱瑜號虔谷官副正通喪制守罔僕義即杜門諸賢之一也入我 朝表宅建祠諱斯文官司正 贈吏議諱智崑官井邑縣監廉潔興學蔚有治績事見輿地勝覽解紱歸鄕與伯叔季友愛尤篤大被長枕埍箎湛樂謙川上有亭名以相好者是也於公爲十四世曰河祥曰永振通政曰滿根都事其曾祖祖禰也妣淑人陰城朴氏斗鉉女公以 高宗丙子正月七日生稟性溫和動止安詳及長就學不待程督自知用力通政公敎以義方都事公諄諄戒飭季父菊軒翁尤加誘掖勸獎公書細服膺弱冠往병拜農山申公得求偏被眷愛學業日就丁巳贄謁艮齋田公愚遂定依歸孝養中堂甘芝無闕餘力讀書深自警省其於律身接物交人御衆哀慶問遺之節皆有條理毫不放過焉乙巳父病進指血廷一日命屬纊攀號哭擗頓絶方甦上慰重堂與慈庭强爲水飮變喪之故未免渴葬而日省其墓不以寒署風雨廢戊申遭通政公哀承重如禮乙卯丁內憂未幾荐遭王母喪幷致哀毀通甚旣絶者屢矣送終無憾每當夫日致齋精潔將事哀通一如袒括焉嘗憂先世文獻之多遺漏墓道之顯刻略攷兵燹餘巾衍廣搜立言家遺集各擧其蹟而述事行謁文于秉筆君子以賁墓儀其追遠之誠又如是一自國破道喪典章文物掃地盡矣公無意於世遂隱居蘆峰山中如存室即其先世墳菴也蒔花種栢鑿池養魚以寓自適之趣間與士友酌酒賤詩以叙慷慨之懷又以講學授徒朝聞夕可爲畢生義諦其所秉執豈能言者之所可及哉享年六十九而甲申十月二十六日卒遠近嗟嘆曰賢者逝矣加麻執紼者甚衆而當日受業者爲公設契名曰久敬每以忌日相會講信以寓羹墻之思亦可見德敎之入人者深矣葬于龜山村後東山丁坐原配平澤林氏昌浩女癸酉正月六日生癸巳七月十日卒牙育墓本面飛龍後山先塋白虎嶝平坂艮坐繼配濟州梁氏學圃彭孫後顯淳女乙亥五月十四日生幽閑貞重無遜配德己丑十月二十四日卒春秋七十五墓公塋右麓下局坤坐原生一男一女男龍基女適慶州鄭鍾文昇平朴慶圭孫婿也永吉永權永魯鄭婿出也鍾來鍾奇鍾千朴婿出也噫公以溫恭之質孝友之性刻苦之工篤實之行世値商商未展所蘊畢命溝壑是爲識者之所恨然公脩天爵有何慊乎哉天翁有知陵生休瑞當無窮於來裔矣龍基克肖先德撰家狀請以隧之文不侫義難固辭只撮其大者而銘之曰 猗公孝學今世古人溫良之姿敦厚其仁從師聞道侍瑟坐春誠篤追遠墓儀重新固守東岡頓忘世塵天地晦塞何傷隱淪存順沒寧庶幾得全欝彼佳城龜岡之垠揭此貞石永世不湮 前宗廟郞 月星 崔元植 撰 귀촌공휘병관묘갈명(龜村公諱炳寬墓碣銘) 공의 휘는 병관이요 자는 사숙(士淑)이며 귀촌은 그의 호였다. 옥천 조씨는 고려 검교대장군 휘 장(璋)을 시조로 이어 규조(圭組)가 동방의 거족이 되었다. 三전하여 휘 원길(元吉)의 호는 농은인데 포은(圃隱)·목은(牧隱)·도은(陶隱)·야은(冶隱)과 더불어 오은(五隱)이라 칭호하였으며, 벼슬은 전공판서 옥천 부원군에 시호는 충헌이요, 무이원에 배향되었다. 생휘 유(瑜)의 호는 건곡이요, 벼슬은 부정인데 통상제를 행하고 망복의를 지켜 두문동 제현의 으뜸이 되었다. 이조에 들어와서 이문을 정포하고 사우를 세웠다. 휘 사문(斯文)은 벼슬이 사정에 이르렀으며 증 이조 참의요, 휘 지곤(智崑)은 정읍현감으로 청렴 결백하고 학당을 일으킨 울연한 치적이 「여지승람」에 실려있다. 사직하고 나서 고향에 돌아와서는 형제간의 우애가 독실하여 겸천우에 있는 정자를 상호로서 이름하였으니 이분이 바로 공의 十四대조 이시다. 증조는 하상(河祥)이고 조는 통정대부(通政大夫) 영진(永振)이요 부는 도사(都事) 만근(滿根)이며 비는 숙인(淑人) 음성 박씨(蔭城朴氏) 두현(斗鉉)의 따님이시다. 공은 고종(高宗) 병자년(一八七六) 一월 七일에 출생하였는데 성품이 온화하고 동지가 안상하였으며 자라서 취학하여서는 정독을 기다리지 않고 스스로 힘쓸 줄을 알았다. 이에 통정공은 옳은 길로 가르쳤으며 도사공은 거듭거듭 훈계하였고 계부 국헌옹은 더욱 아껴 가르치기를 더하여 큰 뜻을 가슴에 품을 것을 권장하였다. 二十세를 전후하여 농산신공(農山申公) 득구(得求)을 찾아가 배알하고 나서는 두터운 사랑을 입어 학업이 날로 진취하였다. 정사년에 폐백을 가지고 간재(艮齋) 전공(田公) 우(愚)를 배알하고는 마침내 의지하고 돌아갈 곳을 정하였다. 중당을 효도로서 봉양하여 좋은 반찬을 궐함이 없었고 남은 힘으로 글을 읽어 깊이 스스로 깨우쳤다. 애경 상사에 문부한 절파가 다 조리가 있었고 조금도 방심하거나 가볍게 넘기지 아니하였다. 을사년(乙巳年)의 부친 병환에는 손가락을 잘라 그 피로서 하루을 연명하였으나 마침내 운명하시자 휘여잡고 부르짖으며 울고 가슴을 두드리는 등 상사에 너무 슬퍼하여 숨이 끊어졌다가 되살아나 기도하였다. 위로 중당 및 자친을 위로하고 강연히 수장을 먹고 병상인고로 빨리 장사였으나 한서 풍우일지라도 하루도 폐하지 않고 날마다 성묘하였다. 무신년(戊申年)에 통정공의 상을 당하자 예제에 따라 승중하였으며 을묘(乙卯年)에 내우를 당하더니 얼마 안 되어 거듭 왕모상을 당하였으나 심히 애통하여 자주 끊어지고 보재고 마치는데 유감이 없이 하였다. 제삿날을 당하면 재계하고 정결히 행사하여 애통함을 초상 때와 같이 하였다. 일찌기 선대의 문헌이 많이 산실된 것을 근심하고 묘도의 현각을 대략 병화뒤에 남은 상자를 상고하였으며 널리 바른 말을 하는 군자의 유집을 찾아 각기 그 실적을 들어 사행을 기록하여 군자에게 글을 청하여 묘도를 빛내니 그 추원한 정성이 또 이와 같았다. 한번 나라가 망하고 도덕이 없어진 뒤로 전장문물(典章文物)이 땅을 쓸어버린 것 같은지라. 공이 세상에 뜻이 없어 마침내 노동산중 여존실에 은거하니 곧 선세분암 이었다. 꽃씨를 뿌리고 잣나무를 심으며 못을 파서 고기를 길러 스스로 편안할 지취를 부치며 간간이 사우와 더불어 술을 마시고 시를 지어 울분한 회포를 풀었다. 또 학도를 모아 학문을 강하였으며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가하다는 말을 평생의 법칙으로 삼으니 그 처신한 바가 어찌 범상한 자의 미칠 바이겠는가. 향년 六十九세로 갑신년(甲申年) 十월 二十六일에 별세하니 원근이 차탄하여 말하기를, 「어진 사람이 갔다.」 하고 삼베옷을 입고 상여줄을 잡은 자가 매우 많았다. 당일 수업한 자 공을 위하여 계를 모아 구경(久敬)이라 이름하고 매양 기일에 서로 모여 신의를 강하고 우러러 사모한 뜻을 부치었으니 또 덕교가 사람에게 깊이 미친 것을 보겠도다. 귀산촌후 동산 정좌원(龜山村後東山丁坐原)에 장사하고 배는 평택 임씨(配平澤林) 창호(昌浩)의 따님으로 계유년(癸酉年) 一月 六일에 출생하여 계사년(癸巳年) 七월 十일에 졸하니 무육이고 묘소는 본면 비룡후산 선영 백호등 평판 간좌(本面飛龍後山先塋白虎嶝平坂良坐)이다. 계배는 제주 양씨(濟州梁氏) 학포팽손후 현순의 따님으로 을해(乙亥) 五월 十四일에 출생하였는데 유한 정중하여 부덕이 손색이 없었고 기축년(己丑年) 十월 二十四일에 춘추 七十五세로 별세하니 묘소는 공영우록 하국 곤좌원(公塋右麓下局坤坐原)이었다. 아들은 용기(龍基) 딸은 경주(慶州) 정 종문(鄭鍾文)의 처였다. 승평(昇平) 박 경규(朴慶圭)는 손서이고, 영길(永吉)·영권(永權)·영노(永魯)는 정 종문의 아들이요, 종내(鍾來)·종기(鍾奇)·종천(鍾千)은 박 경규의 아들이었다. 아! 공의 온공한 바탕과 효우한 성품이며 각고의 공부와 독실한 행실로서 판탕한 세상을 만나 쌓은 포부를 펴지 못하고 임천에서 종신하니 이것이 식자의 한스러운 바이나 공이 인의충신(仁義忠信)·낙선불권(樂善不倦)의 천작을 닦았으니 어찌 불만이 있겠는가 하늘이 이를 알면 마땅히 아름다운 상서를 내려 후손이 무궁할 것이다. 용기(龍基)가 선덕에 어질어 가장을 찬하여 수도의 문자를 청하니 내가 의리상 고사하기 어려워 다만 그 큰 것만 뽑아 새긴다. 거룩하다、 공의 효도와 학문이여、 지금 세상의 옛사람이로다。 猗公孝學今世古人 따뜻하고 어진 바탕이요、 두텁고 후한 어진 사림이로다。 溫良之姿敦厚其仁 스승을 따라 도를 듣고 엄숙하게 모시고 봄바람에 앉졌다。 從師聞道侍瑟坐春 추원에 정성이 독실하여 묘소 얼굴이 거듭 새롭도다。 誠篤追遠墓儀重新 굳이 동강을 지키고 아조 세상에 티끌을 잊었으나、 固守東岡頓忘世塵 천지가 어둡고 막혔으니 어찌 숨고 빠짐을 근심하겠는가。 天地晦塞何傷隱淪 순하게 살다가 편안히 죽으면 온전할 것이다。 存順沒寧庶幾得全 울창한 저 묘소는 귀강의 언덕이로다。 欝彼佳城龜岡之垠 이 빗돌에 걸어 영원히 잃지 아니하리라。 揭此貞石永世不湮 전종묘랑(前宗廟郎) 월성(月星) 최원식(崔元植) 삼가 지음
 
1. 문헌 목록 〉21. 21世 〉4. <요재공>승정원주서공휘병일기적비명(承政院注書公諱炳一紀蹟碑銘)
1. 문헌 목록 〉21. 21世 〉6. <부정공>제재종제휘병우문(祭再從弟諱炳佑文)